📌 영어 표현 비교:
owing to vs due to vs because of
모두 ‘~ 때문에’라는 뜻인데, 언제 어떤 표현을 써야 할까?
✅ 1. owing to + 명사/명사구
🔹 의미: ~ 때문에, ~의 결과로
공식적이고 격식 있는 표현. 특히 글쓰기나 뉴스 기사 등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문법 구조
형태: owing to + 명사/동명사
품사: 전치사
🔸 예문
Owing to heavy rain, the match was canceled.
→ 폭우 때문에 경기가 취소되었다.
Flights were delayed owing to technical problems.
→ 기술적인 문제 때문에 항공편이 지연되었다.
✅ 2. due to + 명사/명사구
🔹 의미: ~ 때문에, ~의 결과로
마찬가지로 격식 있는 표현이지만, 문법적으로는 **보어(보충 설명 역할)**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 문법 구조
형태: be동사 + due to + 명사/동명사
주의: 일반 동사 다음에는 잘 사용하지 않음
🔸 예문
The cancellation was due to bad weather. ✅
→ 취소는 악천후 때문이었다.
The train is delayed due to an accident. ✅
→ 사고로 인해 기차가 지연되었다.
❌ Due to heavy rain, the match was canceled.
(문법적으로는 엄격히 말해 틀림)* →
✔️ Because of heavy rain, the match was canceled.
※ 하지만 구어체나 실제 사용에서는 due to도
owing to처럼 쓰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 3. because of + 명사/명사구
🔹 의미: ~ 때문에
가장 일반적이고 일상적인 표현, 공식적인 문맥에서도
무난하게 사용됩니다.
🔸 문법 구조
형태: because of + 명사/동명사
품사: 전치사
🔸 예문
The game was canceled because of the storm.
→ 폭풍 때문에 경기가 취소되었다.
He missed the bus because of oversleeping.
→ 그는 늦잠을 자서 버스를 놓쳤다.
✨ 핵심 비교 요약표
표현 / 의미
|
주요 용법
|
예시
|
|
owing to ~ 때문에
|
전치사, 공식문서
|
Owing to the rain, the flight was delayed.
비로 인해 비행기가 지연되었습니다.
|
|
due to ~ 때문에
|
보어 용법 (be동사 뒤)
|
The delay was due to the weather.
지연은 날씨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
|
because of ~ 때문에
|
널리 사용 가능
|
The event was canceled because of the storm.
폭풍으로 인해 행사가 취소되었습니다.
|
💡 마무리 Tip
일상 회화나 이메일: because of
공식 문서, 뉴스 기사: owing to, due to
be동사 뒤에서 원인 설명: due to가 더 적절
🔁 비슷한 의미지만, 문법적으로 구분이 필요한 3가지 표현:
|
||||
because of ~때문에 / 전치사
The game was canceled because of rain.
✅ 일반적이고 폭넓게 사용
|
||||
due to ~때문에 / 전치사 (보어 역할)
The delay was due to rain.
✅ be동사 뒤 사용이 원칙
|
||||
owing to ~때문에 / 전치사
The match was postponed owing to rain.
✅ 격식체, 문어체에서 선호
|
📌 기억할 포인트
문장 맨 앞에서 원인 설명할 땐 owing to 또는 because of 사용이 자연스러움.
be동사 뒤에서 원인을 설명할 땐 due to 사용이 문법적으로 가장 적절.
'영문법 > 표현 express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ck of’ vs ‘Sick from’: 전치사 하나로 바뀌는 감정과 질병의 영어 표현! (1) | 2025.07.04 |
---|---|
영어 인과관계 표현 비교; cause vs. lead to vs. bring about (1) | 2025.07.04 |
"운명일까, 목적지일까? 'be bound for'와 'be bound to V' 헷갈리지 않는 법" (0) | 2025.07.04 |
"‘이어지다’와 ‘초래하다’의 경계: Lead to vs Result in" (1) | 2025.07.04 |
인과 표현 완전 정복: 'result in' vs 'result from'의 차이 (0)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