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문법/표현 expressions

"운명일까, 목적지일까? 'be bound for'와 'be bound to V' 헷갈리지 않는 법"

by missyousomuch 2025. 7. 4.
반응형

📌 영어 표현 비교:

be bound for vs be bound to V

같은 단어 ‘bound’지만 전치사에 따라

완전히 달라지는 의미!

영어에는 똑같은 단어가 전치사나 구조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그 대표적인 예인

**"be bound for"**와 **"be bound to + 동사원형"**의 차이를

문법적으로 분석하고 예문과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 1. be bound for + 장소 (명사)

🔹 의미: ~행이다 / ~으로 향하고 있다

어떤 장소로 향하는 것이 확정되어 있는 상태,

정해진 목적지로 향하고 있는 느낌입니다.

 

🔸 문법 구조

형태:

be + bound + for + 장소(명사)

‘bound’의 의미:

bind(묶다)의 과거분사 → ‘어디론가 묶여 있다’, 즉 ‘~으로 향하는’

‘for’의 역할:

방향, 목적지를 나타내는 전치사 → ‘~을 향하여’

🔸 예문

The train is bound for Busan.

→ 그 기차는 부산행이다.

We are bound for home.

→ 우리는 집으로 향하고 있다.

This ship is bound for international waters.

→ 이 배는 국제 수역으로 향하고 있다.


✅ 2. be bound to + 동사원형 (to V)

🔹 의미: ~할 수밖에 없다 / ~할 운명이다 / ~하는 것이 확실하다

어떤 일이 반드시 일어날 것 같은 강한 확신이나

필연적인 결과를 나타냅니다.

 

🔸 문법 구조

형태:

be + bound + to + 동사원형

‘bound’의 의미:

bind의 과거분사 → 어떤 행동을 하도록 ‘묶여 있는’, 피할 수 없는

‘to’의 역할:

부정사(to V)의 일부 → 특정 행위에 연결

🔸 예문

He is bound to succeed with his talent.

→ 그는 그의 재능으로 분명히 성공할 것이다.

Mistakes are bound to happen when you're learning something new.

→ 새로운 것을 배울 때는 실수가 일어나는 것이 당연하다.

You are bound to obey the law.

→ 당신은 법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


🤔 왜 의미 차이가 생길까?

두 표현 모두 ‘bound’라는 단어의 기본 의미인

**‘묶여 있는 상태’**에서 출발합니다.

그러나 그 뒤에 오는 구조가 방향인지, 행동인지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의미로 분화됩니다.

표현
전치사/구조
의미 확장 방향
설명
be bound for
for + 장소
공간/목적지
지향성
특정 장소로 향하는 방향, 목적이 확정된 상태
be bound to V
to + 동사원형
행위/필연성
지향성
어떤 행동을 반드시 하도록 결속된 상태

✨ 마무리 요약

be bound for + 장소어디로 향하는 중

be bound to + 동사원형무엇을 하게 될 필연적인 상황

같은 단어라 해도 전치사나 문법 구조가 바뀌면 의미가 극적으로 달라진다는 점!

앞으로 영어를 공부할 때 이런 연결 관계에 더 주목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