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문법/표현 expressions

“Be Familiar With vs Be Familiar To: 전치사 하나로 바뀌는 익숙함의 의미”

by missyousomuch 2025. 7. 2.
반응형

💡 영어 표현 차이: be familiar with vs be familiar to

― 전치사 'with'와 'to'의 의미 차이에서 출발한 익숙함의 두 얼굴

영어 학습자라면 한 번쯤 헷갈렸을 표현,

**"be familiar with"**와 "be familiar to".

둘 다 *'익숙하다'*는 뜻이 있지만,

치사 하나 바뀌었을 뿐인데 뜻과 구조가 완전히 달라지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차이를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볼게요.

👀 그리고 왜 이런 차이가 생기는지도 전치사의 본래 의미를 통해 파헤쳐 봅니다.


✅ 1. be familiar with + 사물/개념

의미: ~에 익숙하다, ~을 잘 알고 있다

주어: 주로 사람

구조: 사람이 어떤 사물/개념에 대해 경험이나 지식을 가지고 있는 능동적인 관계

 

📌 예시:

I am familiar with this software.

👉 나는 이 소프트웨어에 익숙하다. (내가 이걸 잘 안다)

She is familiar with the local customs.

👉 그녀는 그 지역의 관습을 잘 안다.

Are you familiar with his work?

👉 그의 작품에 대해 알고 있나요?

🧠 전치사 'with'의 감각:

‘with’는 ‘함께’, ‘가지고 있는’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즉, **사람이 지식이나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느낌이죠.


2. be familiar to + 사람

의미: ~에게 익숙하다, 낯익다

주어: 주로 사물/개념

구조: 사물/개념사람에게 익숙하게 느껴지는 수동적인 관계

📌 예시:

His face is familiar to me.

👉 그의 얼굴은 나에게 낯익다. (그 얼굴이 나에게 익숙하게 느껴진다)

The melody sounded familiar to her.

👉 그 멜로디는 그녀에게 익숙하게 들렸다.

This problem is familiar to many students.

👉 이 문제는 많은 학생들에게 익숙하다.

🧠 전치사 'to'의 감각:

‘to’는 ‘~에게’, ‘~을 향해’라는 의미를 가지죠.

즉, **무언가가 사람에게 익숙함이라는 느낌을 '주는 방향'**을 나타냅니다.


🔍 핵심 비교표

 
주어 (사람) be familiar with 사물/개념
사람의 지식, 경험 → 능동적 관계
나는 이 책에 익숙하다. (내가 이 책을 잘 안다)
주어 (사물/개념 등) be familiar to 사람
익숙하게 느껴지는 대상 → 수동적 관계
이 책은 나에게 익숙하다. (책이 나에게 낯익다)

🎯 결론: 전치사에 따라 관점이 달라진다!

with'내가 무엇을 알고 있다' → 능동적인 느낌

to'무엇이 나에게 익숙하게 느껴진다' → 수동적인 느낌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 **"familiar with"**는 사람이 중심,

🔹 **"familiar to"**는 사물이 중심!


결론적으로,

전치사가 동사나 형용사의 의미를 보충하고 뒤에 오는 명사와의 관계를

설정하기 때문에, 'with'와 'to'가 각각 다른 관계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의미를 다르게 만드는 것입니다.

 

✨ 같이 보면 좋은 표현

be used to + ~ing → ~에 익숙하다 (행동, 상황)

get accustomed to → ~에 익숙해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