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as if / as though" +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완료 직설법 쓰임 비교

by missyousomuch 2025. 6. 28.
반응형

'as if (though)' 가정법: 마치 ~인 것처럼

"as if / as though" + 가정법은 현실과 다른 가정, 또는 상상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중요한 문법 구조입니다.

'as if'와 'as though'는

의미상 거의 동일하며, '마치 ~인 것처럼' 이라는 뜻.

1. 개념 설명

"as if / as though" + 가정법은

현실과 다른 가정, 또는 상상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중요한 문법 구조.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직설법 대용:

실제 가능성이 있거나 사실에 가까운 내용을 나타낼 때.

(이 경우 'as if (though)' 뒤에 직설법 시제 사용)

◆가정법 대용:

실제 사실과 반대되거나 불가능한 내용을 가정할 때.

(이 경우 'as if (though)' 뒤에 가정법 시제 사용)


2. 형태

2.1.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내용을 가정하거나,

현재/미래에 대한 불확실한 가정을 나타냄.

주어 + 동사 + as if (though) + 주어 + 동사의 과거형 (be동사는 were)

예문:

She acts as if she were a queen.

해석: 그녀는 마치 여왕인 것처럼 행동한다.

(실제로는 여왕이 아니다.)

He talks as though he knew everything.

그는 마치 모든 것을 아는 것처럼 말한다.

(실제로는 모든 것을 알지 못한다.)

He looked at me as if I were crazy.

그는 내가 미친 것처럼 나를 쳐다봤다.

(실제로 내가 미친 것은 아니다.)


 

2.2.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내용을 가정하거나,

과거에 대한 불확실한 가정을 나타냄..

주어 + 동사 + as if (though) + 주어 + had + p.p.

예문:

He looked as if he had seen a ghost.

그는 마치 유령을 본 것처럼 보였다.

(실제로 유령을 보지 않았다.)

She spoke as though she had never made a mistake.

그녀는 마치 실수를 한 번도 하지 않았던 것처럼 말했다.

(실제로는 실수를 했을 것이다.)

They celebrated as if they had won the lottery.

그들은 마치 복권에 당첨되었던 것처럼 축하했다.

(실제로 복권에 당첨되지 않았다.)


2.3. 직설법

(실제 가능성이 있거나 사실에 가까울 때)

'마치 ~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그럴 가능성이 있다는 뉘앙스.

주어 + 동사 + as if (though) + 주어 + 동사 (시제 일치)

예문:

It looks as if it is going to rain.

비가 올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비가 올 가능성이 높다.)

He sounds as though he is very tired.

그는 매우 피곤한 것처럼 들린다.

(실제로 피곤할 가능성이 높다.)

She dresses as if she is rich.

그녀는 마치 부자인 것처럼 옷을 입는다.

(실제로 부자일 수도 있고, 아니어도 그렇게 보이려고 하는 것이다.)


 

3. 주의할 점

(1) 'as if' vs. 'as though':

의미상 큰 차이가 없으므로 서로 바꿔 사용.

현대 영어에서는 'as if'가 조금 더 보편적으로 사용됨.

(2) be동사의 사용:

가정법 과거에서 be동사는 주어의 인칭과 수에 관계없이 항상 'were' 를 사용.

(구어체에서는 'was'를 쓰는 경우도 있으나,

격식적인 문장에서는 'were'가 올바른 표현.)

(3) 직설법과 가정법의 구분:

직설법: 실제로 그럴 가능성이 있거나 사실이라고 판단될 때.

가정법: 실제와 반대되거나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할 때.

(4) 주절의 시제와의 일치/불일치:

▶ 'as if (though)' 절의 내용이 주절과 같은 시점이라면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 반대)를 사용.

▶'as if (though)' 절의 내용이 주절보다 한 시점 앞선다면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사실 반대)를 사용

(5) 구어체에서의 변형:

구어체에서는 'as if' 뒤에 주어+동사 없이

바로 형용사나 명사가 오는 경우.

She stared at me as if angry.

(그녀는 마치 화난 것처럼 나를 노려봤다.)

He behaved as if a child.

(그는 마치 어린아이처럼 행동했다.)

하지만 문법적으로는 주어+동사(be동사 생략).


🧩 as if / as though + 가정법 정리

구분
의미
구조
실제 시제
사실일 수 있음
현재의 가능한 일
as if + 주어 + 현재시제
현재시제
사실 아님
현재의 사실과 다른 일
as if + 주어 + 과거시제
과거시제 (하지만 현재 의미)
과거 사실 아님
과거의 사실과 다른 일
as if + 주어 + had + p.p.
과거완료

🚨 4. 주의할 점 정리

항목
설명
직설법 vs 가정법 구분
가능성 있는 사실 →현재시제 / 사실과 다름 → 가정법
시제 일치에 주의
현재 의미지만 과거형 사용 (가정법 과거)
be동사는 were 사용
가정법에서는 항상 were 사용 (I were, he were 등)
as if = as though
의미는 완전히 동일. 교체 가능
혼동 주의
"look like", "seem like"과 유사하지만, "as if"는 문장이 뒤에 온다는 점에서 다름

AI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