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문법/표현 expressions

5형식 문장 목적격 보어 별로 비교; 명사, 형용사, 동사원형, to 부정사

by missyousomuch 2025. 6. 20.
반응형

5형식 문장에서 목적격 보어 자리에

동사원형이나 to부정사가 오는 경우

vs

명사/형용사가 오는 경우 비교.


 

1. 목적격 보어로 명사나 형용사가 오는 경우

목적격 보어인 명사형용사는 목적어의 상태, 신분, 결과,

혹은 목적어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즉, 목적어의 '무엇' 또는 '어떠함'을 설명합니다.

1.1 명사 보어: 목적어의 정체성, 역할, 이름을 부여하거나 명명합니다.

They named their son **John**.

(아들의 이름이 존이라는 정체성을 부여)

We call him **Tony**.

(그의 별명/호칭이 토니라는 정체성)

The company appointed her **manager**.

(그녀의 직위가 매니저라는 신분)

1.2 형용사 보어: 목적어의 상태, 성질, 감정을 설명합니다.

This news made me **happy**.

(나의 감정 상태가 행복함)

Please keep the door **closed**.

(문의 상태가 닫힘)

I found the movie **boring**.

(영화의 성질이 지루함)

이 동사들은 목적어가 어떤 '상태가 되거나', '어떤 존재로 불리거나',

'어떤 것으로 여겨지는지'를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2. 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이나 to부정사가 오는 경우

(사역동사, 지각동사, 일반 동사)

이 경우, 목적격 보어인

동사원형이나 to부정사

목적어가 어떤 행동을 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즉, 목적어의 '행위'를 설명합니다.

2.1. 동사원형이 오는 경우:

주로 사역동사 (make, have, let)와

지각동사 (see, hear, feel, watch, notice 등)

이 동사들은 목적어가

특정 행동을 하도록 시키거나(사역), 목적어가 행동하는 것을

직접 감각적으로 인지할 때(지각) 사용됩니다.

목적어의 행위가 즉시, 직접적으로 발생함을 강조합니다.

사역동사:

I **made** him **clean** his room.

(나는 그에게 방을 청소하도록 시켰다)

She **let** me **go**.

(그녀는 내가 가도록 허락했다)

지각동사:

I **saw** him **cross** the street.

(나는 그가 길을 건너는 것보았다)

We **heard** her **sing** a song.

(우리는 그녀가 노래를 부르는 것들었다)

2.2. to부정사가 오는 경우: 대부분의 일반 5형식 동사

이 동사들은 목적어가 미래에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청하거나,

설득하거나, 허용하거나, 기대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목적어의 행위가 아직 일어나지 않았거나, 의지나 계획과 관련될 때

주로 쓰입니다.

I **want** you **to succeed**.

(나는 네가 성공하기를 원한다) - 미래의 바람

She **asked** him **to help** her.

(그녀는 그에게 그녀를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 요청 행위

They **expect** us **to finish** the project.

(그들은 우리가 프로젝트를 끝내기를 기대한다) - 미래의 기대


결론적으로

목적격 보어의 형태
나타내는 의미
동사의 종류 (예시)
명사 / 형용사
목적어의 상태, 신분, 결과 (무엇/어떠함)
make, keep, leave, find, call, name, appoint, drive
동사원형
목적어의 직접적인 행위 (지각/사역)
make, have, let, see, hear, feel, watch
to부정사
목적어의 미래 지향적인 행위, 의지, 계획, 요청
want, ask, tell, advise, allow, expect, enable

※※ 요약 ※※

목적격 보어가

**목적어의 '상태'나 '본질'**을 설명할 때는

명사나 형용사를 쓰고,

**목적어의 '행위'**를 설명할 때는

동사원형이나 to부정사를 쓴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는 각 동사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