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문법/표현 expressions

🎓 사역동사와 준 사역 동사: 이름의 의미와 쓰임

by missyousomuch 2025. 6. 20.
반응형

🎓 사역동사와 준사역동사: 이름의 의미와 쓰임

1. '사역'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

**사역(使役)**이라는 한자어는

'부릴 사(使)'에 '일할 역(役)'이 결합된 말입니다.

즉, 남에게 어떤 일을 시키거나 하게 만든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영어의 사역동사(Causative Verbs)인 make, have, let은

주어가 목적어에게 특정 행동을 하도록 시키거나,

허락하거나, 야기하는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사역동사'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주어가 직접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어가 행동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 요약 ☆☆

🧠 1. ‘사역’이라는 이름의 뜻

📌 한자어 ‘사역(使役)’

使(부릴 사) + 役(일할 역)

➡ 남에게 일을 시키거나 하게 만듦.

📌 Causative Verbs (사역동사)

make, have, let

➡ 주어가 직접 하지 않고, 목적어가 하도록 시킴

➡ ‘영향을 미치는 동사’!


 

⚙️ 2. 왜 동사원형이 올까?

2. 사역동사는 왜 목적격 보어 자리에 동사원형만 오나요?

사역동사 (make, have, let) 뒤에 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이 오는 이유는,

이 동사들이 목적어가 어떤 행동을 '직접적으로,

완료적으로' 수행하게 함을 강조하기 때문입니다.

📌즉시성 및 직접성:

사역동사는 주어가 목적어에게 행동을 시키거나 허락하는 그 순간,

혹은 그 결과로 목적어가 바로 행동에 착수함을 나타냅니다.

to부정사가 미래 지향적이거나 잠재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것과 달리,

동사원형은 행동의 완료 또는 실제적인 발생에 초점을 둡니다.

📌원인과 결과의 명확성:

주어의 '사역' 행위가 목적어의 '행동'이라는 직접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

인과 관계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쉽게 말해, 사역동사는 마치 명령이나 지시처럼,

목적어가 꾸밈없이 바로 그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을 표현하기 때문에,

가장 기본적인 형태인 동사원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사역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

즉시성 & 직접성

→ 행동이 바로 일어남

인과관계 강조

→ 주어의 사역 = 목적어의 행동

"시키면 바로 행동!"

📌 to부정사는 미래적/잠재적 느낌

📌 동사원형은 실제적/직접적 느낌


🧾 3. 사역동사와 준사역동사 비교

🔨 Make (강제적 시킴)

가장 강한 강제성이나 의무감을 나타냅니다.

주어가 목적어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강요하거나',

'반드시 하게 만드는' 뉘앙스입니다.

📌 의미: ~하게 만들다, 억지로 시킴

📌 뉘앙스: 강한 강요/의무감

📍 예문:

He made me clean my room.

(그는 나에게 방을 청소하게 했다)

This movie made her cry.

(그 영화가 그녀를 울게 만들었다)


🛠️ Have (의뢰, 지시)

의뢰, 지시, 부탁의 뉘앙스를 가집니다.

특정 사람에게 어떤 일을 맡기거나, 전문적인 서비스 등을 통해

어떤 일이 이루어지도록 할 때 자주 쓰입니다.

'make'보다는 강제성이 덜합니다.

📌 의미: ~하게 하다, 시키다

📌 뉘앙스: 부탁/지시/서비스 위임

📍 예문:

I had him fix my computer.

(그에게 컴퓨터를 고치게 했다)

She had her hair cut at the salon.

(미용실에서 머리를 자르게 했다)


 

🔓 Let (허락, 방임)

허락이나 방임의 의미를 가집니다. 목적어가 어떤 행동을 하도록

'허용하거나', '그냥 내버려 두는' 뉘앙스입니다.

📌 의미: ~하게 허락하다, 내버려 두다

📌 뉘앙스: 허용/자유롭게 두기

📍 예문:

My parents let me go to the concert.

(부모님이 콘서트에 가게 허락했다)

Don’t let him leave the room.

(그가 방을 떠나지 못하게 해)


🤝 Help (준사역동사)

사역동사처럼 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을 취할 수 있지만,

동시에 to부정사도 취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준사역동사'라고 불립니다.

목적어가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을 돕는다는 의미입니다.

📌 의미: ~하는 것을 돕다

📌 뉘앙스: 지원

📌 특징: 동사원형 / to부정사 둘 다 가능

📍 예문:

I helped him (to) carry the box.

(그가 상자 나르도록 도왔다)

Can you help me understand this?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줄래요?)

📝 동사원형 → 약간 더 직접적인 도움 느낌

📝 to부정사 → 조금 더 부드러운 느낌


📘 사역동사 & 준사역동사 정리표

사역동사
1) make
강제, 억지로 시킴
make + 목적어 + 동사원형
He made me clean my room.
→ 그는 나에게 방을 청소하게 시켰다.
This movie made her cry.
→ 이 영화는 그녀를 울게 만들었다.
2) have
의뢰, 지시, 시킴
have + 목적어 + 동사원형
I had him fix my computer.
→ 나는 그에게 컴퓨터를 고치게 시켰다.
have + 목적어 + 과거분사 (수동)
She had her hair cut at the salon.
→ 그녀는 머리를 자르게 했다.
3) let
허락, 자유롭게 두는 느낌
let + 목적어 + 동사원형
My parents let me go to the concert.
→ 부모님이 콘서트에 가게 해주셨다.
Don’t let him leave the room.
→ 그가 방을 떠나지 못하게 해.

준사역동사
help
~하는 것을 돕다 (지원, 협력)
help + 목적어 + 동사원형 또는 to부정사
I helped him carry the box.
→ 나는 그가 상자 나르도록 도왔다.
I helped him to carry the box.
→ to 사용도 가능. 의미 차이 거의 없음.
Can you help me understand this problem?
→ 이 문제를 이해하게 도와줄 수 있나요?

💡 참고 설명

  • 동사원형 사용 이유: 즉시성, 직접성, 명확한 인과 관계 때문.
  • help는 유일하게 to부정사도 허용 → **'준(準)사역동사'**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