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문법/태 수동태 능동태

수동태 능동태 구분하는 3단계 체크법

by missyousomuch 2025. 5. 18.
반응형

 

Passive voice(수동태)와 Active voice(능동태)를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간단한 3단계 체크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


✅ 1. 주어가 직접 행동을 하나요?

 

Active Voice (능동태): 주어가 직접 행동함

 

예: The cat chased the mouse.

→ 고양이가 쥐를 쫓았어요.

주어(the cat)가 직접 행동(chased)을 함


Passive Voice (수동태): 주어가 행동을 ‘당함’

 

예: The mouse was chased by the cat.

→ 쥐가 고양이에게 쫓겼어요.

주어(the mouse)가 행동을 당함

 


✅ 2. 문장에 ‘be 동사 + 과거분사(pp)’가 있나요?

 

수동태는 항상 be 동사 + 과거분사 구조로 만들어집니다.

 

예:

is eaten

was broken

were invited

→ 이런 구조가 보이면 수동태일 가능성이 큽니다.

 


✅ 3. **by + 행위자(사람/사물)**가 있나요?

수동태 문장에는 종종 **“by + 누구”**가 등장합니다.

 

 

예:

The book was written by the author.

The window was broken by the kids.

 

→ **“by~”로 행동한 사람(또는 사물)**이 표시되면 수동태입니다.

(하지만 항상 by가 있어야 수동태는 아닙니다!)


🎯 정리: 3가지 체크 포인트

 
구분 항목
능동태 (Active Voice)
수동태 (Passive Voice)
행동하는 주체
주어가 직접 행동
주어가 행동을 당함
문장 구조
주어 + 동사 + 목적어
주어 + be + p.p
(+ by 행위자)
예시
She sings a song.
A song is sung
by her.

 

 


🔍 연습 퀴즈

다음 문장은 능동태일까요, 수동태일까요?

 

The cake was made by my mom. → 수동태

They play soccer every Sunday. → 능동태

English is spoken in many countries. → 수동태


interestedexcited처럼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

be 동사 + 형용사 형태로 쓰이기 때문에,

수동태(be + p.p)와 헷갈리기 쉬워요.

 

하지만 이 둘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에요.

아래에서 쉽게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드릴게요:


✅ 핵심 차이점: 형용사 vs 수동태 동사

 
구분
be + 형용사 (감정 상태)
be + 과거분사 (수동태)
역할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
수동태(동사의 수동형)
의미
상태/기분을 설명함
행동을 당했음을 설명함
예시
She is interested.
He is excited.
The window was broken.
The book was written.
해석
그녀는 흥미로워해요.
그는 신났어요.
창문이 깨졌어요.
책이 쓰였어요.

 

 

✅ 형용사로 쓰이는 대표적인 감정 단어들

 

이들은 보통 사람의 감정 상태를 나타냅니다.

 
형용사
의미
예문
interested
흥미 있는
I am interested in science.
excited
신이 난
They are excited about the trip.
bored
지루한
She is bored at home.
worried
걱정하는
He is worried about the test.

 

이 경우는 동작을 당한 게 아니라 감정 상태를 말하는 것이므로,

수동태가 아니라 형용사예요.


✅ 어떻게 구분할까?

 

감정 상태를 말하는 건가요? → 형용사

어떤 행동이 실제로 이루어졌나요? → 수동태

예:

The boy is excited. → 신난 상태 → 형용사

The package was delivered. → 배달되다(행동) → 수동태

 


✨ 팁: **뒤에 전치사 (in, about, with 등)**가 붙으면 형용사일 가능성↑

 

be interested in

be excited about

be bored with

be worried about


 

✅ be + 감정 형용사 vs. be + 과거분사 (수동태)

 
구분
be + 감정 형용사
be + p.p. (수동태)
🌟 의미
사람의 감정 상태를 표현
어떤 행동을 당함을 표현
🧩 품사
형용사
동사의 과거분사
📍 뒤에 전치사?
자주 옴: in, about, with 등
보통 없음 (가끔 by + 행위자)
🧠 생각 방법
“어떤 기분이니?”
“무슨 일을 당했니?”
📝 예문
- She is interested in art.
→ 그녀는 예술에 흥미 있어요.
- He is excited about the trip.
→ 그는 여행에 신났어요.
- The book was written by Tom.
→ 그 책은 Tom에 의해 쓰였어요.
- The door was opened.
→ 문이 열렸어요.
💡 포인트
감정은 사람만 가질 수 있음
사물은 excited, interested 못 됨
행동은 사람/사물 둘 다 가능

 

 

🔍 간단 구분법:

 

만약 그 단어가 감정을 나타내고, 주어가 사람이면

= 👉 형용사!

 

만약 그 단어가 행동의 결과를 말하고, by 누구를 붙일 수 있으면

= 👉 수동태!


영어에는 자동사와 타동사의미는 비슷하지만

문법적으로는 다르게 쓰이는 동사 쌍이 있습니다.

 

예로는 lie / lay, rise / raise, sit / set 등이 있죠.

아래에 자주 혼동되는 자동사/타동사 동사쌍들을 표로 정리해드릴게요:


✅ 자동사 vs 타동사: 의미 비슷하지만 용법 다른 동사 모음

 
자동사 (자기
혼자 하는 동작)
타동사 (뒤에
목적어 필요)
lie (lie-lay-lain)
눕다
lay (lay-laid-laid)
~을 눕히다, 놓다
rise (rise-rose-risen)
오르다
raise (raise-raised-raised)
~을 올리다
sit (sit-sat-sat)
앉다
set (set-set-set)
~을 놓다, 배치하다
fall (fall-fell-fallen)
떨어지다, 넘어지다
fell (fell-felled-felled)
~을 넘어뜨리다 (나무 등을)
go (go-went-gone)
가다
take (take-took-taken)
~을 가지고 가다
come (come-came-come)
오다
bring (bring-brought-brought)
~을 가지고 오다

 

 

📌 자동사 vs 타동사 핵심 차이 정리

구분
자동사
타동사
뒤에 목적어?
❌ 없음
✅ 있음
예문
She lay on the bed. (그녀가 누웠다)
She laid the baby
on the bed.
(아기를 침대에 눕혔다)

 

💡 자주 헷갈리는 쌍 정리 (예문 포함)

 

1. lie vs lay

lie (자동사): 누워 있다

I want to lie down.

 

lay (타동사): 눕히다

She laid the baby in the crib.

 

2. rise vs raise

rise (자동사): 오르다

The sun rises in the east.

 

raise (타동사): ~을 들어 올리다

He raised his hand.

 

3. sit vs set

sit (자동사): 앉다

He sat on the chair.

 

set (타동사): 놓다, 두다

She set the table for di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