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또는 'HERE'와 같이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부사구가 문두에 올 때 도치(Inversion)가 일어나는 현상
THERE / HERE 부사구 문두 도치
1. 도치(Inversion)란?
도치란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의 순서가 바뀌는 현상
주로 의문문에서 (예: "Are you happy?") 발생하지만,
특정 부사구나 부정어구가 문두에 올 때 강조를 위해 도치가 일어나기도 한다.
2. THERE / HERE 부사구 도치의 기본 원리
장소 또는 방향을 나타내는 부사구가 문장의 맨 앞에 올 때,
강조를 위해 주어와 동사가 도치.
이때 도치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2.1. 주어가 명사일 경우: 동사 + 주어 (완전 도치)
주어가 명사일 때, 동사와 주어가 완전히 도치.
기본 구조:
장소/방향 부사구 + 동사 + 명사 주어
예시:
Here comes the bus. (버스가 온다.)
(원래 문장: The bus comes here.)
There goes the bell. (종이 울린다.)
(원래 문장: The bell goes there.)
Here are your keys. (여기 네 열쇠가 있어.)
(원래 문장: Your keys are here.)
There stands an old tree.
(저기에 오래된 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원래 문장: An old tree stands there.)
Down came the rain. (비가 쏟아져 내렸다.)
(이 경우 'down'도 방향 부사구로 볼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주로 be 동사, come, go, stand, sit, lie, run, walk 등과 같이
움직임이나 존재를 나타내는 자동사인 경우가 많다.
타동사나 조동사가 포함된 복합 동사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완전 도치가 일어나지 않는다.
2.2. 주어가 대명사일 경우: 주어 + 동사 (도치 없음)
주어가 대명사일 경우, 도치가 일어나지 않고
주어와 동사의 순서가 그대로 유지.
기본 구조: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다른 부사구 + 대명사 주어 + 동사
예시:
Here he comes. (그가 온다.)
(Here comes he. (X))
There she goes. (그녀가 간다.)
(There goes she. (X))
Here it is. (여기 있어.)
(Here is it. (X))
There they are. (저기 그들이 있어.)
(There are they. (X))
3. 왜 도치가 일어나는가? (강조와 정보 흐름)
강조:
장소나 방향을 강조하고,
뒤에 오는 주어나 동사에 대한 주의를 끌 수 있다.
정보 흐름:
이미 알고 있는 정보(given information)로 시작하고,
뒤에 오는 주어(새로운 정보)를 강조하는 역할.
4. 다른 장소/방향 부사구의 도치
'THERE'나 'HERE' 외에도
장소나 방향을 나타내는 다른 부사구
(예: up, down, in, out, on, off, away, along,
around, behind, in front of, outside, inside 등)
문두에 올 때도 유사하게 도치가 일어남.
예시:
Down the street walked a strange man.
(길 아래로 낯선 남자가 걸어왔다.)
Up went the balloon.
(풍선이 위로 올라갔다.)
Into the room rushed the police.
(경찰이 방으로 뛰어들어왔다.)
5. 정리 및 요약
구분
|
주어의 종류
|
문장 구조 / 예시 / 비고
|
||
완전 도치
|
명사
|
부사 + 동사 + 명사 주어
Here comes the bus. 동사는 주로 자동사 (come, go, stand, sit, lie, be 등) |
||
도치 없음
|
대명사
|
부사 + 대명사 주어 + 동사
Here he comes. 주어-동사 순서 유지 |
결론적으로,
'THERE'나 'HERE'와 같은 장소/방향 부사구가 문두에 올 때,
주어가 명사이면 동사와 주어가 도치.
하지만 주어가 대명사일 경우에는 도치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
'영문법 > 표현 express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동의 표현과 도치: So / Neither / Nor" (0) | 2025.06.26 |
---|---|
“같은 단어 다른 쓰임! 형용사와 부사의 의미 차이”;high highly late lately deep deeply hard hardly right rightly (0) | 2025.06.25 |
단어 끝에 무음 e (silent -e) 가 붙으면, 앞의 모음이 긴 소리(long vowel) 로 발음 (0) | 2025.06.24 |
once "부사" "접속사" 쓰임 정리 (0) | 2025.06.24 |
전치사 "to" 및 "to부정사" 로 쓰이는 "to" 쓰임 정리 (0)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