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e up to” vs “Come up with”
– 전치사 하나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의 세계!
영어 표현 중 "come up to"와 "come up with"는 겉보기엔 비슷하지만,
전치사(to vs. with) 하나로 완전히 다른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두 표현은 모두 “come up”이라는 기본 동사를 바탕으로 다양한 의미로 확장되며, 뒤에 어떤 전치사가 붙느냐에 따라 문법적 역할과 의미가 확 달라집니다.
오늘은 이 두 표현을 문법적 구조 중심으로 명확하게 비교해보겠습니다!
✅ 1. Come up to
💡 구조:
come up + to + 명사/대명사/장소/기준
🔍 문법적 분석:
“come up”: 자동사구 (주어가 어떤 방향으로 이동함)
“to”: 전치사로, 목적지나 대상을 나타냄
✅ 의미:
다가가다, 가까이 다가오다 (물리적 접근)
기준이나 기대에 도달하다, ~에 부합하다
📘 예문:
(1) The boy came up to me and asked for help.
→ 그 소년이 내게 다가와 도움을 요청했다.
→ (물리적 위치로 다가감)
(2) The meal didn’t come up to my expectations.
→ 그 식사는 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 (기준에 도달하지 못함)
🚨 포인트:
“to”는 방향성(direction) 또는 기준(goal)을 나타냄
주로 장소, 사람, 기준을 대상으로 사용됨
✅ 2. Come up with
💡 구조:
come up + with + 명사/아이디어/해결책
🔍 문법적 분석:
“come up”:
여기서는 부사구처럼 사용되어 무언가를 떠올리거나 생성함의 의미로 확장
“with”:
전치사로, 무엇을 가지고 오는 것을 의미함 → 산출된 결과물
✅ 의미:
(아이디어, 계획, 해결책 등을) 제안하다, 생각해내다
📘 예문:
(1) She came up with a brilliant idea during the meeting.
→ 그녀는 회의 중에 멋진 아이디어를 생각해냈다.
(2) Can you come up with a better solution?
→ 더 나은 해결책을 낼 수 있나요?
🚨 포인트:
“with”는 함께 가져오는 것을 의미 → ‘무언가를 동반하여 생각해내다’
주로 아이디어, 해답, 이유 등 비물질적인 대상과 함께 사용됨
🔍 핵심 비교 요약표
come up to 다가가다, 기대에 도달하다
come up + to + 명사 (방향/기준)
He came up to me. / It came up to standard. 그는 나에게 다가왔다. / 기준에 맞는 수준이었다.
|
||||
come up with 생각해내다, 제안하다
come up + with + 명사 (수반/창출)
She came up with a new plan. 그녀는 새로운 계획을 세웠다.
|
🎯 마무리 요약
**“come up to”**는
어떤 대상이나 기준에 접근하거나 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come up with”**는
무언가를 함께 가져오듯 ‘아이디어나 해결책’을 내놓는 행위입니다.
두 표현 모두 "come up"이라는 공통 요소를 가지고 있지만,
뒤에 오는 전치사의 기능과 의미에 따라 문법적 구조와 해석이
완전히 달라지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영문법 > 표현 express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 known’ 표현의 문법적 분석: to / as / for / by 의 차이 한눈에 보기 (1) | 2025.07.05 |
---|---|
"As far as I know / remember / can see"의 정확한 의미와 문법 구조 (2) | 2025.07.05 |
succeed in vs succeed to: 같은 동사, 전혀 다른 의미! (0) | 2025.07.05 |
영어로 시간 말하기 완벽 정복!"What time is it?"에 자신 있게 대답해요! (1) | 2025.07.05 |
'Industrial' vs. 'Industrious': 같은 뿌리, 다른 길을 걸은 두 단어의 이야기 (0)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