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문법/표현 expressions

‘Cannot But + 동사 원형’: 피할 수 없는 행동, 문어체 표현으로 말하기!

by missyousomuch 2025. 7. 5.
반응형

💡 [영문법 핵심 정리]

‘Cannot But + 동사원형’: 피할 수 없는 행동, 문어체 표현으로 말하기!

“~하지 않을 수 없다”, “~할 수밖에 없다”는 영어 표현, 많이 들어보셨죠?

이럴 때 자주 쓰이는 표현이 바로

👉 **“cannot but + 동사원형”**입니다.

이 표현은 **‘cannot help ~ing’**와 의미는 같지만,

좀 더 문어체적이고 격식 있는 표현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구문의 문법 구조, 의미, 유사 표현, 예문을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핵심 의미

cannot but + 동사원형 = ~하지 않을 수 없다 / ~할 수밖에 없다

직역: 그 행위를 제외하고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즉, 그 행동 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다는 강한 필연성을 전달합니다.


 

🔍 문법 구조 분석

구성 요소
문법 설명
cannot
조동사 can의 부정형. “~할 수 없다”의 의미. 여기서는 “선택의 여지 없음”을 강조.
but
여기서는 접속사 아님!전치사/부사처럼 사용. “~외에는”이라는 의미.
동사원형
but 뒤에 바로 오는 동사원형. 유일한 선택지인 행동을 표현함.

🔎 이 표현은 **‘except to + 동사원형’**의 고어 표현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그래서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cannot but + 동사원형 → 그 행동 외에는 할 수 있는 게 없다


🧠 대표 예문

I cannot but agree with your opinion.

→ 나는 당신의 의견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She couldn't but shed tears.

→ 그녀는 눈물을 흘리지 않을 수 없었다.

We can't but admire his courage.

→ 우리는 그의 용기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 유사 표현 비교

표현
구조
의미
비고
cannot help ~ing
동명사
~하지 않을 수 없다
회화체, 감정 표현에 자연스러움
cannot but + 동사원형
동사원형
~할 수밖에 없다
격식 있고 문어적
have no choice but to +
동사원형
to부정사
~하지 않을 선택지가 없다
논리적, 공적 문맥에 자주 사용됨

✨ 문법 포인트 요약

but 뒤에는 반드시 동사원형이 와야 함

cannot but agreeing (X)

cannot but agree (O)

cannot help ~ing와 의미는 같지만, cannot but + 동사원형은 더 격식 있는 표현.

문어체, 글쓰기, 공식 발표 등에서 자주 사용됨.


🎯 예문 비교로 차이 이해하기

문장
해석
I cannot help crying.
나는 울지 않을 수 없다. (감정이 북받쳐서)
I cannot but cry.
나는 울 수밖에 없다. (어쩔 수 없는 상황)
I have no choice but to cry.
나는 우는 것 외엔 방법이 없다. (논리적 결론)

👉 영어로 자신의 불가피한 선택이나 감정적 반응을 말하고 싶을 때,

상황에 맞게 ‘cannot help ~ing’, ‘cannot but + 동사원형’,

**‘have no choice but to’**를 골라 쓰면 더욱 풍부한 영어 표현이 됩니다!

 
반응형